◆ 함수 작성 형태 ◆
1. 함수를 변수로 선언하여 표현할때는 선언식이 표현식보다 밑에 있어야 한다.
(그렇지 않은 경우는 상관없음)
funcA();
funcB();
function funcA() {
console.log('java');
};
const funcB = function() {
console.log('script');
}
2. 함수를 변수로 선언하여 표현한 식은 제일 나중에 실행된다.
const funcA = function() {
console.log('script');
};
function funcA() {
console.log('java');
}
funcA();
◆ 화살표 함수(Arrow Function) ◆
- 자주 쓰는 표현법
- ' => ' 를 사용하여 함수를 작성
// 기본 함수 표현 //
const simplePrint = function() {
console.log('simplePrint!');
}
// 화살표 함수 표현 1 //
const simplePrint = () =>
console.log('simplePrint!');
// 화살표 함수 표현 2 //
const simplePrint = () => {
console.log('simplePrint!');
}
// 화살표 함수 표현 3 //
// 단, 파라미터가 1개인 경우만 가능. () 를 생략 //
const minus = a => console.log(a);
minus(1);
☞ Javascript 라이브러리 : JQuery